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oHzdLtFwUSs
첫 글을 무엇을 쓸까 고민 하다가, 늘
이상적이라 생각하며 꿈꿔오던 디지털 노마드에 대한 환상을 허물어뜨리는 방송을 선택했다.
디지털 노마드에 대하여
·
디지털 노마드 라는것은 오래전 부터 있던 직업이나, 그럴싸한
이름으로 사람들을 현혹한다.
·
결론무터 냉철하게 얘기하자면 꿈을 깨는 것이 좋다.

·
이미 모든 업무가 컴퓨터로 이루어지고 있는 세상이다. 따라서
대부분의 직무는 자신의 역량만 충분히 뒷받침 된다면 얼마든지 온라인으로 일 할 수 있다.
·
따라서 디지털 노마드의 핵심은 전문성이라 할 수 있다.

·
하지만 언제든 어디서든 일 할수 있는 것은, 단순히 적은 시간을
일하고 자유로이 일한다는 말이 아니라, 일과 삶의 경계가 무너지고
24시간 내내 업무에 시달릴 수 있다는 이야기이다.

·
많은 강사들이 발리에서 모히또 마시며 노트북 펴놓고 일하는 그럴 듯한 사진을 띄워 놓고 도전하면 누구나
이렇게 자유로운 삶을 구축할 수 있다고 말하지만
·
애드센스, 텐핑 등을 통한 성공 확률은 100명 중에 한 두명 정도이며, 그마저도 기존의 전문성을 갖추고
있었거나 1년 이상 자기분야에 시간과 노력을 투자를 한 경우이다.

·
따라서 이러한 강사가 강의료를 챙겨 가는 것은 사기에 가까운 일이다.
스타트업에 대하여

·
처음 생긴 신생 기업이면 다 스타트업이라고 할 수 있다. 특별한
개념이나 새로 생겨난 산업 영역이 아니라는 얘기다.
·
젊은 사람들의 많은 착각이 좋은 아이디어 하나만 있으면 마치 자신이 산업을 혁신 시키고 시장을 호령할 수
있을거라고 생각 하지만,
·
실제로는 지식이나 아이디어로 사업 하는게 아니다.
·
많은 성공 사례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, 성공한 사람에게는
전문성, 지식, 조력자, 시대적인
운이 뒷받침 되었었다.
·
아이디어가 아무리 좋다고 하더라도, 일개 개인의 아이디어가 시장을
장악 하는 것은 로또와 다름없다.
·
실제 국가 보조되는 R&D 사업이 수익화되는 경우는 1%도 채 안되고, 거의 교수나 기관의 배를 불려주는 역할을 하고
있다.
·
이러한 국책 사업이 필요없다는 것이 아니라 너무 방만하게 운영 되고 있어 국세가 낭비된다. (묻지마 지원 형태)

·
많은 창업자들이 회사를 키워서 엑싯 하겠다고 대놓고 떠드는데, 지랄
하지 마라
·
사업을 해본 사람들은 안다. 지속가능한 사업 모델이 없이는 어느
사업도 성공할 수 없다는 것을.
결론
·
디지털 노마드, 스타트업에 대한 환상을 버려라.
·
많은 시간을 들여 전문성을 갖추어라
개인적으로 아마존 FBA나 dropshipping 등에 기웃 거리며 , 돈벌궁리를 하였었고, 디지털 노마드에 대한 로망을 갖고 있었는데...
역시 돈버는 일은 녹록치 않다는 교훈을 얻는 영상 이었다.
다음 포스팅에는 또 다른 유익한 영상을 한 번 정리해 보겠다.